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피스코 사워

덤프버전 :

International Bartenders Association
2020년 IBA 공식 칵테일
[ 펼치기 · 접기 ]

||<-6><bgcolor=#1c1c1c><color=#df0101><tablebgcolor=#FFF,#2d2f34><tablewidth=100%> The Unforgettables ||
|| 네그로니 || 다이키리 || 드라이 마티니 || 라모스 피즈 || 라스트 워드 || 러스티 네일 ||
|| 마르티네스 || 맨해튼 || 메리 픽포드 || 몽키 글랜드 || 불바디에 || 뷰 카레 ||
|| 브랜디 크러스타 || 비트윈 더 시트 || 사이드카 || 사제락 || 스팅어 || 아메리카노 ||
|| 알렉산더 || 애비에이션 || 엔젤 페이스 || 올드 패션드 || 위스키 사워 || 존 콜린스 ||
|| 진 피즈 || 카지노 || 클로버 클럽 || 턱시도 || 파라다이스 || 포르토 플립 ||
|| 플랜터즈 펀치 || 행키팽키 || 화이트 레이디 || 더비 || 바카디 || 스크루드라이버 ||
||<-6><bgcolor=#1c1c1c><color=#df0101> Contemporary Classics ||
|| 골든 드림 || 그래스호퍼 || 데킬라 선라이즈 || 롱 아일랜드 아이스 티 || 마가리타 || 마이타이 ||
|| 모스코 뮬 || 모히토 || 미모사 || 민트 줄렙 || 베스퍼 || 벨리니 ||
|| 블랙 러시안 || 블러디 메리 || 샴페인 칵테일 || 섹스 온 더 비치 || 시 브리즈 || 싱가폴 슬링 ||
|| 아이리시 커피 || 좀비 || 카이피리냐 || 코스모폴리탄 || 콥스 리바이버 No.2 || 쿠바 리브레 ||
|| 키르 || 프렌치 75 || 프렌치 커넥션 || 피나 콜라다 || 피스코 사워 || 헤밍웨이 스페셜 ||
|| 홀시스 넥 || 갓마더 || 갓파더 || 로즈 || 하비 월뱅어 ||
||<-6><bgcolor=#1c1c1c><color=#df0101> New Era Drinks ||
|| 네이키드 앤 페이머스 || 뉴욕 사워 || 다크 앤 스토미 || 러시안 스프링 펀치 || 레몬 드롭 마티니 || 바라쿠다 ||
|| VE.N.TO || 브램블 || 비스 니즈 || 사우스사이드 || 서퍼링 바스타드 || 스파이시 피프티 ||
|| 아페롤 스프리츠 || 에스프레소 마티니 || 옐로 버드 || 올드 쿠반 || 일레갈 || 칸찬차라 ||
|| 토미스 마가리타 || 트리니다드 사워 || 티퍼러리 || 팔로마 || 페니실린 || 페르난디토 ||
|| 페이퍼 플레인 || 프렌치 마티니 || 더티 마티니 || 뱀피로 || B-52 || 카미카제 ||
||<-6><bgcolor=#dddddd,#6f6f6f><color=#000,#DDD> ※ 취소선 : 2011년 공식 레시피였으나 2020년 제외 ||
||<-6> IBA 제외 칵테일 목록 보러가기 ||


파일:logo-iba.png IBA Cocktail, Contemporary Classics
파일:Pisco_Sour.jpg
Pisco Sour

1. 개요[편집]


피스코 베이스의 사워(Sour) 칵테일이다. 비슷한 형태의 음용방식은 18세기부터 발견되나, 현대의 칵테일 레시피로 정형화한 사람은 1920년대의 미국인, 빅터 본 모리스(Victor Vaughen Morris)로 알려져 있다.

베이스인 피스코와 마찬가지로 이 칵테일 역시 페루칠레에서 원조 논쟁이 있다. #


2. 레시피[편집]


* 피스코 - 2oz (60ml)
* 레몬 주스 - 1oz (30ml)
* 심플 시럽 - 2/3oz (20ml)
* 계란 흰자 - 1개
* 아마르고 비터[1] - 3~4 Drops
-
비터를 제외한 나머지 재료를 얼음과 함께 8~10초간 쉐이킹해 준다. 이후 얼음을 걸러내고 차갑게 식힌 고블렛 글라스에 따라준 다음, 아마르고 비터로 가니쉬해주면 완성. 아마르고 비터가 없다면 앙고스투라 비터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.


3. 칠레 vs 페루[편집]


페루 버전의 피스코 사워와 칠레 버전의 피스코 사워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.

  • 피스코: 페루산 피스코는 반드시 3개월 이상 숙성을 해야 하지만 숙성용기가 숙성액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[2]. 반면 칠레산 피스코는 숙성여부에 별도 제한이 없다[3]. 그외에도 사용되는 포도품종, 병입시 가수(加水) 여부 등의 차이가 많다.
  • 계란 흰자: 페루에서는 계란 흰자를 넣지만, 칠레에서는 원칙적으로 넣지 않는다.
  • 레몬라임: 페루에서는 라임을 사용하지만, 칠레에서는 레몬을 사용한다.
  • 비터스: 페루는 비터스를 뿌리지만, 칠레는 넣지 않는다.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24 16:37:08에 나무위키 피스코 사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Amargo Bitter. 퀴닌시나몬 등이 들어간 페루산 비터이다.[2] 옹기, 파라핀을 바른 오크통 등[3] 미숙성 제품도, 코냑처럼 오크통 장기 숙성 제품도 있다.